AWS

AWS Elastic Load Balancing

jjjp9966 2025. 2. 24. 18:27

1. ELB

  • AWS에서 제공하는 로드 밸런싱.
  • 트래픽을 분산시켜 고가용성과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.
  • 항상 동일한 DNS 이름을 제공하여 인프라 변경에도 문제없이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다.
  • 헬스 체크를 통해 EC2 인스턴스의 상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한다.
  • 비정상적인 인스턴스로 트래픽을 전송하지 않도록 자동으로 관리한다.

 

2. ELB 종류

AWS에서는 3가지 유형의 ELB를 제공한다.

 

ALB(Application Load Balancer)

  • L7 로드 밸런싱
  • HTTP, HTTPS, WebSocket을 지원한다.
  • HTTP(S) 기반의 상태 체크를 통해 트래픽을 정상적인 서버로만 전달한다.
  • 요청 URL 경로, 호스트 이름, 쿼리 문자열, HTTP 헤더 등을 기반으로 라우팅
  • Application-Based Cookie, Duration-Based Cookie를 활용하여 클라이언트와 서버 간의 세션 지속성을 지원한다.

Network Load Balancer(NLB)

  • L4 로드 밸런싱
  • TCP, UDP를 지원한다.
  • 초당 수백만 개의 요청을 처리할 수 있다.
  • 가장 높은 성능과 낮은 지연 시간을 제공한다.
  • 각 가용 영역(AZ)마다 하나의 정적 IP를 제공하며, 이를 통해 탄력적 IP를 할당할 수 있다.

Gateway Load Balancer(GWLB)

  • L3 로드 밸런싱
  • IP 패킷을 처리한다.
  • 주로 방화벽, IDS/IPS, 패킷 검사와 같은 네트워크 보안 솔루션과 함께 사용된다.
  • 트래픽 보안 어플라이언스로 전달하여 네트워크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.

 

3. Cross Zone 로드 밸런싱

  • ELB는 기본적으로 가용 영역(AZ) 단위로 트래픽을 분산한다.
  • Cross Zone 로드 밸런싱을 활성화하면 모든 AZ의 인스턴스에 균등하게 트래픽을 분산할 수 있다.
  • ALB: 항상 Cross Zone 로드 밸런싱이 활성화되어 있다.
  • NLB: 기본적으로 비활성화되어 있으며, 설정을 통해 활성화할 수 있다.
  • GWLB: Cross Zone 로드 밸런싱을 지원하지 않는다.

'AWS' 카테고리의 다른 글

AWS Auto Scaling Group  (0) 2025.02.24
AWS SAA 시험 대비 #4: EBS, EFS  (0) 2025.02.24
AWS SAA 시험 대비 #3: EC2  (0) 2025.01.30
AWS SAA 시험 대비 #2: IAM  (0) 2025.01.23
AWS SAA 시험 대비 #1: Region, AZ, Edge location  (0) 2025.01.23